본문 바로가기
  • SpokeHouse
기타팁

Man's Manual, 타이어를 공부하다 -2-

by SpokeHouse 2022. 7. 24.
728x90
728x90

계속해서 타이어에 대해 알아보죠!


1편의 내용 URL을 첨부합니다.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바랍니다.

https://spokehouse.tistory.com/11

 

3. 타이어 규격

 

사실 타이어에는 굉장히

많은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하지만 타이어 규격만 알아도

타이어를 이해하거나 교환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타이어에 인쇄된 내용 중

타이어 규격만 알아보게습니다.

 

출처 URL: https://www.kumhotire.co.kr/kor/tires/SedanView02.asp

 

타이어 종류는 금호타이어 SOLUS TA31입니다.

이 타이어는 제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 차에는 17인치 타이어가 들어가있습니다.

 

사진에 표시해 두었듯이, 타이어에는 정보가 적혀있습니다.

 

215 / 60 / R / 16 / 95 / H

 

3.1 타이어 단면폭

- 215 / 60 / R / 16 / 95 / H

 

 

출처 URL: https://m.blog.naver.com/neojr/220545938138

 

첫 번째 숫자 215는 단면폭을 의미합니다.

단면폭은 땅과 맞닫고 있는 타이어의 폭 넓이입니다.

 

타이어의 단면폭이 넓을수록

접지력이 높아져 성능이 좋아지지만

반대로 연비는 줄어들게 됩니다.

 

고성능 타이어일 수록

타이어의 단면폭은 넓어지고

연비를 중요시 하는 타이어일수록

타이어의 단면폭은 좁아집니다.

 

3.2 편평비

- 215 / 60 / R / 16 / 95 / H

 

출처 URL: https://m.blog.naver.com/neojr/220545938138

 

그 다음 숫자는 편평비입니다.

편평비는 타이어의 단면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을 뜻합니다.

 

만약 단면폭이 같다면

타이어의 높이는 높아지겠죠?

 

215 / 60은 215mm의 단면폭을 가진

타이어의 높이가 60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할거라 생각이듭니다.

 

편평비가 높은 타이어는 충격흡수에

유리하기 때문에 승차감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편평비가 높은 타이어는 주행성능이 떨어집니다.

높을수록 넘어지기 쉽겠죠?

 

반대로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의

주행성능은 우수하지만

승차감은 딱딱하기 때문에 불편합니다.

 

3.3 타이어 구조

- 215 / 60 / R / 16 / 95 / H

 

타이어의 구조에 대해서 잘 설명된

한국타이어의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

 

URL: https://www.hankooktire.com/kr/service/tire-guide/types/structure.html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대부분의 승용차에는 R(Radial)을 표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술적으로 타이어의 편평비를 낮출수 있어서

주행 성능을 높이기에 적합한 타이어 구조입니다.

 

간혹 ZR을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ZR은 함축된 단어가 아니라 A to Z의

Z를 생각하면 됩니다.

즉, 끝으로 향하기 때문에 고속주행의

끝판왕이란 의미로 Z를 활용한 것입니다.

 

ZR 타이어 구조는 240km/h 이상의 속력을

버티는 고성능 타이어 구조입니다.

 

3.4 림(Rim) 경

- 215 / 60 / R / 16 / 95 / H

 

출처 URL: https://m.blog.naver.com/neojr/220545938138

 

림 경은 타이어 내경과 같은 의미입니다.

제가 보여드린 SOLUS TA31의 림은

16인치로 보시면 됩니다.

 

3.5 하중 및 속도표시

- 215 / 60 / R / 16 / 95 / H

 

95라고 표기된 것이 최대 하중입니다.

보통 표기법은 LI(Load Index)로 표기하며

하중지수별 최대하중은 링크를 통해

더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URL: http://www.hankooktire.com/kr/service/tire-guide/load-speed/load.html

 

다시돌아와서 95LI는 616kg의

최대 하중을 견딜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겠죠.

 

그 다음으로 알파벳 H는 최대 속도를 코드화 한 것입니다.

최대 속도 코드 역시 링크를 통해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URL: https://www.hankooktire.com/kr/service/tire-guide/load-speed/speed.html

 

그러므로 H는 210km/h의 최대속력을

낼 수 있는 타이어임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자, 이렇게 해서 타이어의 규격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정보를 나열하는 데에서 그치면 안되겠죠.

바로 실전예제 들어갑니다.

 

215 / 55 / R / 17 / 94 / V

 

여러분도 한 번 맞춰보세요!

 

 

어떻게 한 번에 이해가 되셨나요?

그럼 저도 한 번 풀어보겠습니다.

 

제 타이어는 단면폭 215mm에

높이가 55정도 되는군요.

Radial 구조의 타이어이며

림은 17인치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최대 하중은 670kg이며

최대 속도는 240km/h까지 가능하네요.

 

제가 이전에 쓰던 타이어는 

BlueEarth-A ae-50이였으며

225 / 45 / R / 17 / 94 W 이었습니다.

이전 타이어는 정말 딱딱했어요.

 

단순히 단면폭과 편평비를 보면

BlueEarth-A ae-50이 주행 성능이

좋은 타이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승차감과 연비는

SOLUS TA31 좋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비교를 통해서 연비의 여부를

알아내기는 사실 쉽지 않습니다만,

승차감은 이전보다 훨씬 부드러워 진 것은

사실입니다.

 

최대속도와 하중을 보면 

BlueEarth-A ae-50은

SOLUS TA-31과 같이 670kg의 최대 하중을 견디며

최대 속도는 270km/h로 약 30km/h의

최대 속도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표기만 봐도

BlueEarth-A ae-50은 고성능 주행용

SOLUS TA-31은 승차감용인 것을 알 수 있죠?

 

소감

 

이제는 타이어 고를 때

본인의 취향에 맞춰 표기를 확인하고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덧붙여 말씀드리자면

자신이 타고 있는 차량의 순정 타이어를

확인하시고 타이어를 고르시길 권장드립니다.

 

제 차는 yf소나타로 16인치에서는 205/60,

17인치에서는 215/55로 출고가 됩니다.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타이어(옷)이

차(몸)에도 잘 맞습니다.

 

물론 본인의 지식이 더 풍부하시다면

더욱더 타이어(옷)을 고르는 폭이

넓어지시겠지만요!

 

감사합니다, 준이었습니다.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