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okeHouse
개발환경/J-Link

J-LINK 시리얼넘버 집어넣기 - 준비작업 / JLINK Serial number - 1

by SpokeHouse 2022. 9. 25.
728x90


안녕하세요 SpokeHouse에 오동나무토끼입니다.

지난번 소개를 해드렸던 Nordic사의 52810 기반의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하여

ADC 키 입력받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렸었습니다.

오늘은 개발 및 제작이 완료된 하드웨어에 펌웨어를 업로드하는 도구인 디버거 중 

JLINK에 시리얼 넘버를 입히는 작업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SEGGER - JLINK

J-LINK입니다. NORDIC사의 제품에 펌웨어 업로드 및 디버거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리점을 통해 정품으로 구매를 진행하면 대략적으로 70만원정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 구비되어 있는 제품을 항상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모르고 있었는데... 대단히 비싼...

하지만 어떤 게 정품인지 구분이 안됩니다... 제 지인분들께서는 비싸게 구매하신 디버거가 가품이었다고..

그렇다면!! 일단 아무거나 구매해봅니다.. 요즘 하도 가품이 많다 보니..

J-LINK 인식

USB 꼽아보니 J-LINK 인식은 됩니다만... NRF 관련 소프트웨어 사용하려면 시리얼 넘버가 정품으로 잡혀야 되는데 

계속 안 되는 거 보니.. 뭐 그냥 가품입니다... 시리얼 넘버 교체를 통해 정품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해 봅니다.

1. J-LINK 뚜껑 까기

일단 시리얼 넘버를 입히기 위해서는 현재 JLINK로 인식되는 것을 바꿔야 합니다.

1. 뚜껑부터 까줍니다. 

USB 꼽는 부분에서 1자 드라이버 살짝 넣고 도려서 벌려주시면 잘 열립니다.

2. 핀셋 혹은 쇼트시킬 수 있는 도구 준비

2. 붉게 표시해 높은 부분을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쇼트시킬 수 있는 도구 준비해주세요

배열이나 모양이 틀리다고 당황하지 마세요 

제가 여러 타입을 보아 왔는데 기본적인 진행은 비슷합니다.

3. 쇼트시키기

3. ERS 핀부터 쇼트시켜주세요 10~15초 정도? 

쇼트가 잘 됐는지 확인하는 게 제품마다 좀 틀린 것 같습니다.

LED가 소등되는 제품도 있고 USB 인식이 알 수 없는 장비로 되는 장비도 있었고요.. 아무 액션이 없었던 제품도 있습니다.

어떤 변화가 생겼거나 시간이 15초 이상 되었다고 하면 전원을 분리해주시고 쇼트도 분리해주세요

 

4. TST 핀 쇼트시키기.

TST 핀을 쇼트시킨 후 전원을 연결하여 줍니다.

5~15초 가량  지나게 되면 알 수 없는 장치로 인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5. 제일 윗부분 쇼트 진행

5. 가장 위에 부분 쇼트 진행 

제일 위에 쇼트 진행합니다. 전원 꼽아주고 USB 장치(알 수 없는 장치)가 사라질 때까지 계속 쇼트하고 기다려줍니다.

USB 장치에서 사라지면 쇼트를 유지해준 상태에서 전원을 분리해줍니다.

 

6. 쇼트 분리 및 USB 연결

연결해주었던 쇼트를 분리하고 USB 연결을 해줍니다.

 

COM4로 인식

COM4의 BOSSA?로 잡혔습니다.

이상태가 되어야 준비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바이너리 파일 올려 시리얼 넘버가 잘 잡힐 수 있는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구매하신 제품에 따라 핀 배열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순서를 같기 때문에 조금만 참고 반복해서 진행해보시면 마지막 단계까지 오실 수 있을 겁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대단히 맛있는 거 드시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그럼 이만 춍춍!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