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토입니다.
2024.01.27 - [M's Work] -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4
지난포스팅에서 EVB로 기존 예제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였기에 개발보드 자료를 토대로 회로도 부터 진행해보자.
(아래에 나와있는 모든 회로는 st에서 제공하는 datasheet를 정리하여 진행하였다. 별도로 추가한건 스위치 등으로 디버깅 전이니 참고하여 사용하시는게 좋을듯하다)
최근에 KICAD를 계속 사용하려고 하고있다 기본적인 사용방법도 포스팅하고 있는데 시간이 되면 카테고리를 좀 수정해서 분리해야 될 것같다
여러가지를 한곳에 올리다보니 나중에 꺼내볼 심산으로 작성하고있는 나조차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먼저 루트 페이지에서 플로우 그리면서 회로도 추가해준다.
대략 이정도면 배터리 충전까지 테스트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usb에서 메인전원을 받고 테스트기 때문에 5v진행 예정이고 FET 게이트를 tcpp01-m12에서 컨트롤 해주면 된다고 한다.
mcu는 evb와 마찬가지로 stm32g071사용한다 cc라인은 usb에서 받아서 tcpp01-m12를 거쳐 stm32g071 까지 온다
나머지 뒷단은 충전 회로다 여기저기 찾아서 구성을 해야된다
당장에 bms까지 할필요는 없으니 bms가 달린 배터리로 대체하면될듯하다.
usb는 두개를 달아보기로 했다 하나는 데이터 라인까지 3.0으로 Full로 있고 좌측의 자재는 2.0이다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 쓸만한 자재인지 데이터 확보도 할겸 해서 하나씩 달고 나중에 라인은 합쳐버릴거다.
일단 데이터도 사용안할거니까 0옴 붙여주고 gnd 묶어버린다.
좌측에 저항 라인들은 evb에 있는 사용 W에 따라 저항을 선택해줘야 하는 항목이라 일단 테스트를 위해 자리만 마련 해놓았다.
fet도 일단 st에서 추천하는 본인들 제품으로 달아놨다 제품화 할때는 스펙만 맞춰서 저렴한걸로 바꿔야겠다 가격이 상당하다.
mcu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다운로드, 디버깅을 위한 uart 함께 테스트를 진행할 RTC를 위한 i2c 등을 연결해 놓았다.
메인 다운로드는 이번에 새로 구매한 v3를 사용해보기 위해 해당 커넥터를 적용 하려고한다.
PCB TO PCB커넥터로 쉽게 연결할 수 있을것같다 그리고 헤더핀이나 추가적인 작업도 필요 없어서 새로 적용해 보았다
동작이 잘된다면 추후에 해당 부분만 별도로 메모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고.
테스트 버튼과 reset버튼을 넣어준다 그냥 편하게 테스트를 위해 스위치 머리가 좀 올라온걸로 적용했다.
디버깅을 위해 uart3도 하나 커넥터로 빼논다.
tcpp01-m12에서 컨트롤해서 들어오는 파워를 다이오드 하나 거쳐서 받아준다.
그러면 받아서 배터리 충전 ic로 넣어준다. 1cell 짜리 테스트용이다.
별도로 배터리 전압 확인을 위해 adc핀 할당해서 충전량 확인하도록 해야한다.
mcu 자체가 3.3v까지 확인이 안되니 저항으로 분기해서 확인하는회로 넣어주면 될듯하다.
요렇게 해주면 확인이 필요할 때만 전압을 걸어줘서 조금이라도 발열이나.. 낭비되는걸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없을때 있을때 이번 샘플을 통해서 비교를 한번 해봐야될 것 같다.
배터리 셀 연결 할 수있게 스크류 타입에 커넥터 하나 넣어주었다.
DINKLE이 요즘 저렴하고 스펙이 좋은거같아서 자주 사용중이다..
마지막은 RTC회로인데 해당 프로젝트와는 상관은 없다.
그냥 해당 RTC IC테스트용으로 넣었다 괜찮은 놈인거 같은데 확인은 해야되기에..
해당 부분은 나중에 따로 다뤄보기로 하고
일단 회로는 이정도 될 것 같다 한번더 말하지만 아직 디버깅이 되지 않았기에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추후에 디버깅하면서 포스팅 수정도 해놓겠지만)
다음은 간단히 아트웍까지 하는 포스팅 진행하고~ 디버깅 열심히 해야된다.
그럼 이만 오늘도 대단히 맛있는거 많이 드시고 바바이~
'Side-Project > USB-PD'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4 (0) | 2024.01.27 |
---|---|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3 (0) | 2024.01.20 |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2 (1) | 2024.01.13 |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1 (0) | 2024.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