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okeHouse
Side-Project/USB-PD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2

by SpokeHouse 2024. 1. 13.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오토입니다.

2024.01.06 - [M's Work] - USB C-type PD 듀얼롤 컨트롤러 개발 - 1

1편에 이어서

이번 메모는 st사의 user manual UM2552에 대한 메모 입니다.

양이 77장 정도 되어보이는데 쭉 훑으면서 필요한 부분 메모 해야겠습니다.

전반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부터 시작해서 callback 함수도 설명해논거같고 양이 많네요

일단 제공할 수 있는 부분이 이런것이다~ 라는거같구요

목차 지나서~ 사용하는 용어 부터 설명하기 시작합니다. 그중에 필요한것부터 메모하죠

위의 내용의 파워 관련되서 계속 반복적으로 지난번 부터 나왔던 애들 같아서 일단 킵 해놓구요

스텐다드는 뭐 이렇다고 하니까 참고하시면 될것같구요

프로토콜 스텍은 이렇다고 합니다. 아직까지는 이전 자료들과 크게 다른건 없네요

소프트웨어파고 유틸들 파일 구조 간단하게 표시 해논거같구요 저도 처음에는 st껄로 할거라서 일단 메모해줘야 나중에 찾기 쉬우니까요

드라이버는 hal 하고 ll 드라이버 있고 호출하고 callback 돌리고 하는건 같네요 그냥 깍뚜기는 무로 만듭니다 라는 소리구요

펌웨어 스텝은 위에 다섯단계를 지켜달라고 하니까 참고하면 될것같구요 4단계는 rtos쪽에만 해당되는거같네요

벤더정도? 정책사항들 필요할 수 있을것같으니 메모 해둡시다

듀얼롤의 경우에는 포트에 두개 모두 해야된다고 하네요 저한테 해당되는 내용인것같습니다.

싱크로 사용할때 커넥션 및 분리 구성도입니다.

소스로 사용될떄 구성도이구요

결과적으로 듀얼롤 일때는 둘다 해야되는거라고 마무리 되네요

저는 사용하지 않지만 data 송수신까지 하는 제품이라면 아래 내용도 중요할것같네요

전반적으로 제공해주는 드라이버만 잘사용하면 크게 문제될건 없어보입니다.

위의 내용만 잘 염두해두면 듀얼롤 진행할때 서로 빡치기 할일을 없어보이네요

그럼 오늘도 대단히 맛있는거 많이드세요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