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pokeHouse
YouTube

유튜브 알고리즘, MCN 산업의 트랜드 변화 및 유튜브 플랫폼 이해 - 4 -

by SpokeHouse 2022. 9. 21.
728x90
728x90

유튜브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준입니다.

지난번 시간에 유튜브가 얼마나 욕심쟁이인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욕심 많은 유튜브를 만족시킬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 걸까요?

지금 같이 알아보시죠!

 

1. 노출클릭율

 

???: 다 낚아 버리겠다 쫘파~

 

노출클릭율을 유튜브가 영상을 노출시켰을 때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클릭을 받는 것인가를 뜻합니다.

쉽게 말하면 알고리즘의 간택을 받았을 때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을 받았느냐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보통 노출클릭율은 해당 영상이 얼마나 가치가 있느냐 보다는 얼마나 보이기에 매력적이냐를 추정하는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후킹(Hooking), 낚아채다)이라고 해서 어부가 물고기를 잡아 올리듯이 사람들의 이목을 확 사로잡는 영상이 노출클릭율이 높겠죠.

유튜브 입장에서는 노출클릭율이 높으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유튜브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이 머무는 시간이 점점 더 많아지는 것이죠.

그래서 유튜브는 끊임없이 우리에게 '이거 좋지 않아?', '저건 어때?' 라면서 추천 영상을 아예 밥상 앞에 가져오는 것입니다.

보통 노출클릭율을 담당하는 요소는 썸네일, 제목이 됩니다.

 

2. 시청시간지속율

 

???: 개꿀잼 ㅋㅋㄹㅃㅃ

 

그러나!

노출클릭율이 좋다고 해서 유튜브에게 돈이 될까요?

아닙니다.

결국에는 시청자가 노출된 영상을 통해 영상 시청을 지속하는 것이 유튜브에게 수익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썸네일에는 엄청 몸매가 좋은 남성/여성을 사용하고 내용에는 라면 끓이는 법이라면 시청자는 1초도 안돼서 영상에서 이탈하겠죠.

이처럼 시청시간 지속이라는 것은 그 영상이 가지고 있는 본질,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썸네일, 제목으로 노출시킨 요소가 얼마나 영상이 가지고 있는 본질과 일치하는가,

그리고 그 본질이 시청자에게 얼마큼 유익을 주는가에 따라 시청자가 그 영상에 체류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겠죠.

유튜브 알고리즘은 시청시간이 길게 지속되는 영상을 당연히 더 좋아하겠죠!

 

3. 반응

 

출처: 임요환 VS 페이커, G식백과. 2018

 

G식백과 김성회 님이 유행시킨 멘트인 좋댓구(좋아요, 댓글, 구독 알림설정까지~) 가 반응에 해당합니다.

해당 영상에 반응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시청자들에게 유익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죠?


사실 위 세 가지는 매력적인 영상의 지표를 나누어 설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팬덤이 없는 채널에 시청자를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트렌디 혹은 전문적인 주제를 다루는 것을 알리는 썸네일과 제목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영상이 실제로 내가 시간을 들일만큼 가치가 있어야겠죠.

그리고 최후로는 이 영상에 완전히 매료되어 반응하며 진정한 팬덤을 만들어가야겠죠.

다음 시간에는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나는 어떤 영상을 만들어가야 하는가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안녕~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