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준입니다.
오늘은 널리 알려진 유튜브 플랫폼의 오해와 미신들에 대해 한 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영상 업로드 수가 많을수록 알고리즘의 간택을 받기 쉬울까?
첫 번째 오해는 영상 업로드 물량공세가 알고리즘 간택에 영향을 줄까?라는 고민입니다.
강사님의 말씀은 일단 'NO'라고 하셨지만 저는 완전한 NO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전에 유튜브 알고리즘이 선택하는 세 가지 지표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만약 우리의 영상이 후킹이 확실하고 영상이 실제로도 재밌다고 가정했을 때 영상을 매일 올릴 수 있다면 어떨까요?
저는 정말 폭발적인 성장을 받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문제는 보통은 이런 상황이 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영상을 기획하고 만들고 발행하는데는 물리적으로 시간이 소요됩니다.
영상을 기획, 제작, 발행하는 능력(capacity)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영상 업로드의 빈도가 잦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영상의 퀄리티는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영상이 보여주고자 하는 영상미 뿐만 아니라 영상에 담긴 메시지까지 동시에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강사님의 NO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주기나 영상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한 영상이 기획된 대로 전달되었는가가 알고리즘에 더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장 이상적인 영상 업로드 주기도 있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메인 영상 - 1주일 당 1번 업로드
쇼츠 영상 - 1주일 당 2번 업로드
라이브스트리밍 - 1주일 당 1번 업로드
커뮤니티 업로드 - 1주일 당 2번 업로드
욕심쟁이 유튜브 편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유튜브는 시청자가 다른 플랫폼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존 거대 시장인 메인 영상 외에 쇼츠, 라이브 스트리밍, 커뮤니티 업로드를 하며 시청자에게 계속해서 신호를 보내는 크리에이터에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도 함정은 있습니다.
오늘 유튜브를 시작하는 사람이 메인, 쇼츠, 라이브 스트리밍, 커뮤니티 업로드를 1주일에 맞춰서 모두 해야 하는가?
이런 질문에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은 갈립니다.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메인 영상 혹은 쇼츠 영상 중 한 가지의 방식을 선택해서 알고리즘이 나의 영상을 정의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2. 인트로, 채널 아트, 프로필의 늪
많은 전문가들은 인트로와 채널아트 프로필의 늪을 조심하라고 얘기합니다.
채널의 퍼스널 브랜딩(팬덤 형성)이 되기 전까지 시청자는 제 채널을 보고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제가 제공하는 정보를 보고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인물이 아니라 정보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채널은 영상 안에 담긴 정보가 충실한 영상이라면 충분합니다.
또한, 본인을 위해서도 너무 인트로, 채널 아트, 프로필에 신경 쓰지 말라고 합니다.
본질이 아닌 것에 힘을 쓰게 되면 영상 제작 시작도 전에 질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보통 가장 크게 현타 오는 지점을 1주일 영상 1개 기준으로 했을 때 3달째 그 늪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영상 개수는 10개가 됐는데 각 영상의 조회수가 10일 때 느껴지는 초라함을 느끼지 않으려면, 번 아웃되지 않도록 여력을 남겨가며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그래서 에너지 쓰는 총량을 10이라고 봤을 때 다음과 같이 하라고 얘기합니다.
기획 5 > 촬영 3 > 편집 2
영상이 최종 발행되는데 5시간이라고 본다면
기획 2.5시간, 촬영 1.5시간, 편집을 1시간 정도 소요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무조건 이렇게 하라는 의미는 아니고 기획에 최대한 충실해야 하고 편집에 너무 많은 공을 들이지 말고 힘을 빼라는 게 포인트입니다.
오늘은 유튜브 플랫폼에 가지고 있는 오해와 미신들 4가지 중 2가지를 먼저 살펴보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남은 두 가지를 마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안녕~
'YouTub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저작권과 저작권자의 이해, 크리에이터 필수 저작권 이해(1) (0) | 2022.10.07 |
---|---|
유튜브 플랫폼의 오해와 미신들 4 가지 - 2 - (0) | 2022.10.02 |
유튜브 알고리즘으로 바라보는 채널의 방향성 3가지, MCN 산업의 트랜드 변화 및 유튜브 플랫폼 이해 - 5 - (1) | 2022.09.24 |
유튜브 알고리즘, MCN 산업의 트랜드 변화 및 유튜브 플랫폼 이해 - 4 - (2) | 2022.09.21 |
유튜브의 시청자 유치 방법, MCN 산업의 트랜드 변화 및 유튜브 플랫폼 이해 - 3 - (0) | 2022.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