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트 간단 체크를 해봅시다!
안녕하세요, 준입니다.
오늘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간단 체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도 다른 페이지를 참고하지 않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자료들만으로 구성했습니다.

현황 탭 - 사이트 최적화
우선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들어가 봅시다.
좌측에 '현황'탭에서 '사이트 최적화'를 누르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제가 알기엔 등록 후 48시간 정도가 지나야
사이트 진단이 완료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로봇이 사이트를 진단하기 전에
사이트의 신뢰성을 높일 방법이 있어
이 글을 통해서 공유하려고 합니다.
우측 상단에 '연동 사이트 목록'을 눌러봅시다.

연동 사이트 목록 - 사이트 간단 체크
'연동 사이트 목록'을 누르셨다면 그다음으로
우측 상단에 있는 '사이트 간단 체크'를 눌러주세요.

사이트 간단 체크 - 내 블로그 주소
'사이트 간단 체크'를 누르셨다면 빈칸을 사진처럼
자신의 웹사이트를 기재하시고 '조회'를 눌러주세요.
사이트 간단 체크 결과
'사이트 간단 체크'를 조회해 본 결과
저희 블로그는 '사이트 설명'과 'Open Graph 설명'이
안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목별 가이드를 통해서 이를 해결해보겠습니다.
우선 '사이트 설명'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이트 설명 설정/변경 가이드'를 눌러봅시다.
페이지 설명
내용을 살펴보니 결국 html 태그를 넣었듯이
페이지 설명도 넣어줘야 하나 봅니다.
아무래도 content="페이지 설명"이라고 되어있는 곳에
페이지 설명을 적어두면 되겠죠?
티스토리의 스킨 편집으로 가봅시다.
혹여나 티스토리의 스킨 편집이 어디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
URL: 준, 구글 서치 콘솔을 배우다 -1-
티스토리 관리자 홈 - 스킨 편집 - html 편집
복사하신 메타 태그를 <head>와</head>사이에 붙여주세요.
그 후에 'content'에 표현하고 싶으신 문구를 넣어주세요.
그리고 '적용'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사이트 간단 체크 결과
그다음으로 'Open Graph 설명'이 있네요.
'Open Graph 설명 설정/변경 가이드'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봅시다.
오픈 그래프
아, 이제 시작인가?
슬슬 밑천이 드러나려나 봅니다.
도대체가 무슨 말인지를 모르겠네요 ㅋㅋ...
이래야 체험기 맛이 살죠
안 그렇습니까? 아하하하
자세한 내용의 링크가 달려있으니
한 번 참고해 봅시다.
URL : http://ogp.me
Basic Metadata
'Open Graph'라는 것이 열린 차트라는
의미가 아닌 것 같습니다.
URL을 적었을 때 보이는 미리 보기의 개념 같네요.
빨간 테두리 박스를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og:title' 이라는 것은 블로그 이름을 적는 것 같습니다.
'og:type'은 카테고리를 적는 란 같네요.
'og:url'은 블로그 주소를 적으면 될 것 같고요.
'og:image'는 블로그의 대표이미지를 불러오기 위한
url 주소를 적으면 될 것 같습니다.
자, 그럼 해당 내용을 html 편집에서 적용해봅시다.
티스토리 관리자 홈 - 스킨 편집 - html 편집
저는 'Open Graph'의 내용을 위 사진처럼 기재하였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니 네이버에서 권장하는 내용과
링크 사이트에서 권장하는 내용이 다릅니다.
저는 링크 사이트 내용을 적었습니다.
og:title에 SpokeHouse
og:type에 habbit, it
og:url에 블로그 주소
og:image에 관리자 홈에 있는 이미지 주소를 적었습니다.
이미지 주소 링크 가져오는 법만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홈 - 프로필 사진 우클릭 - 링크 주소 복사
저는 티스토리 관리자 홈에 있는
이미지 링크 주소를 복사하여
'og:image'의 내용을 채워넣었습니다.
좀 더 응용하자면 사진이 게재된 곳에서
링크를 가져온다면 이미지 url을
다 가져올 수 있겠죠?
자, 이제 '사이트 체크 결과'를 다시 보겠습니다.
사이트 체크 결과
진짜 너무한다 너무해
아, 한 번에 못 끝냈습니다.
이제는 전문가 다 되어 있을 줄 알았는데
전 아직 멀었나 봅니다.
그래서 검색을 해 본 결과 해결은 쉬웠습니다.
참고 사이트 링크를 남깁니다.
URL: https://bbshinny.tistory.com/416
티스토리 관리자 홈으로 가봅시다.
티스토리 관리자 홈 - 프로필 사진 클릭 - 블로그 설명 - 변경사항 저장
관리자 홈으로 들어가셔서
좌측 상단의 프로필을 클릭해봅시다.
그럼 블로그 이름, 닉네임 수식어, 블로그 설명이 보일 겁니다.
결국 '페이지 설명'이라는 항목은 프로필 상에서
'블로그 설명'을 원하는 것이었습니다.
'meta 태그'가 왜 적용이 안 됐는지는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이해는 되지 않지만 오히려 이 방법이 훨씬 쉽네요.
블로그 설명을 적어주신 뒤 '변경사항 저장'!
잘 적용되었는지 사이트 체크 결과를 다시 확인해보시죠.
사이트 체크 결과
와~ 드디어 모든 항목에 초록 체크가 ㅠㅠ
너무나 감격스럽습니다.
이렇게 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자, 이렇게 해서 오늘은 네이버 웹마스터의
사이트 최신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혼자서 모든 것을 진행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ㅎㅎ
자만하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통해서
배워가고 알아가야겠습니다.
한 줄평
모르는 것을 창피해 하지 말자!
감사합니다, 준이었습니다.
'기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Work, 네이버 애널리틱스에 등록하다 (0) | 2019.08.15 |
---|---|
M's Work, 구글 애드센스를 공부하다 -1- (0) | 2019.07.24 |
M's Work,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하다 -1- (0) | 2019.07.19 |
M's Work, 구글 애널리틱스를 배우다 -2- (2) | 2019.07.18 |
M's Work, 구글 애널리틱스를 배우다 -1- (1) | 2019.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