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해보자!
안녕하세요, 준입니다.
오늘은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여태 작성해왔던 글처럼 '배우다'가 아닌
'등록하자'라는 동사를 사용해 봤습니다.
왜냐하면, 이번에는 참고하는 글 없이
직접 웹마스터에 등록해보았거든요.
그야말로 본능에 충실한!
네이버 웹마스터 등록기가 될 것 같습니다.
글의 기반은 이전의 구글 서치 콘솔의 경험으로부터
자신감을 얻었기 때문에 해당 링크 남겨놓습니다.
1. 네이버 웹마스터란 무엇인가?
- Naver Webmaster Tool
원리는 구글 서치 콘솔과 같습니다.
티스토리는 다음 카카오에서 서비스하는 블로그입니다.
따라서 다음 카카오에서는 저희 블로그를 검색하기 쉽지만
구글과 네이버처럼 타 검색엔진에서 저희 블로그의 글이
검색되기란 쉽지 않죠.
따라서 각 검색 엔진별로 검색 로봇이 타 플랫폼의
결과도 잘 읽어올 수 있도록 명단을 작성하는 겁니다.
그 명단이 바로 웹마스터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네이버 웹마스터에 블로그 연동하기
URL: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네이버 웹마스터를 검색해보세요.
제가 달아둔 링크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정확한 명칭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이군요.
그럼 '로그인'을 해봅시다.
연동 사이트 목록
네이버에서 '로그인'을 하고 들어오게 되면
연동할 사이트 추가 내용을 묻는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연동할 '사이트 추가'시 주의점
다들 알고 계시죠?
본인의 블로그 주소가 'http://'로 시작하는지
혹은 'https://'로 시작하는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제대로 기재하셨다면 '추가'버튼을 눌러봅시다.
사이트 소유 확인
너희들 다 거기서 거기구나?
이제 HTML이란 단어를 봐도 겁나지 않죠?
긴장할 것 없이 바로 HTML 태그를 복사합니다.
그러고 나서 티스토리 블로그의 스킨편집에서
<head>와 </head>사이에 복사한 HTML 태그를
붙여넣으면 되겠죠?
바로 붙여넣어 봅시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홈 - 스킨 편집 - html 편집
보시면 이전에 구글 서치 콘솔의 html 태그는
"google-site-verification"이라고 적힌 것 보이시죠?
그럼 당연히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의 html 태그는
"naver-site-verification"이 됩니다.
어때유, 참 쉽쥬?
이번 글은 제가 공부한 것이 아니라 복습을 하면서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을 보고 따라 하시려는 분들은 당혹스러울 수 있습니다.
꼭 링크를 통해서 구글 서치 콘솔을 먼저 접하시고
이 글은 그냥 참고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URL: 준, 구글 서치 콘솔을 배우다 -1-
<head>와 </head>사이에 네이버 웹마스터의
html 태그가 잘 붙여졌다면 '적용'을 눌러주세요.
사이트 소유 확인
네이버 웹마스터의 html 태그를 잘 '적용'하셨다면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의 사이트 소유 확인 창으로 돌아와 주세요.
자동등록 방지 코드를 잘 적으시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연동 사이트 목록
'확인'을 누르시게 되면 위 사진처럼
네이버 웹마스터의 연동 사이트 목록으로
화면이 전환됩니다.
spokehouse의 블로그가
연동된 모습이 아주 뿌듯합니다.
연동된 주소를 한 번 눌러볼까요?
3. 네이버 웹마스터에 RSS 제출하기
- Rich Site Summary
요청 - RSS 제출
구글 서치 콘솔에서도 다루었던 RSS 등록입니다.
제가 '생존신고'라고 말씀드렸었죠?
네이버에서도 우리가 살아있음을 알립시다.
'요청' 항목에 'RSS 제출'을 눌러주세요.
자신의 주소 뒤에 /rss 를 기재하시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등록된 RSS
등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사이트맵을 제출해봅시다.
요청 - 사이트맵 제출
'요청' 항목의 '사이트맵 제출'을 누르시고
구글 서치 콘솔 할 때 첨부하였던 사이트맵의
링크를 복사하셔서 /attachment 이전을 지워주시고
등록하시면 됩니다.
사이트맵을 업로드 하는 과정이 꽤 길어서
꼭 링크를 참고하시어 따라 하시면 좋습니다.
링크를 붙여넣으셨다면 '확인'을 눌러주세요.
제출된 사이트맵
사이트맵이 잘 제출되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 오늘은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하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 때 많이 헤매서 그랬는지
네이버 웹마스터를 등록할 때는 정말 편안했습니다.
이것이 학습효과겠죠?
이다음 글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이트 진단 체크'에 관련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
한 줄평
편 - 안
감사합니다, 준이었습니다.
'기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Work, 구글 애드센스를 공부하다 -1- (0) | 2019.07.24 |
---|---|
M's Work,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하다 -2- (0) | 2019.07.20 |
M's Work, 구글 애널리틱스를 배우다 -2- (2) | 2019.07.18 |
M's Work, 구글 애널리틱스를 배우다 -1- (1) | 2019.07.18 |
Man's Manual, 노트북에 램을 추가하다. (0) | 2019.07.17 |
댓글